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J네트워크] 중국은 중국을 잃어야 한다

중국이 진정한 대국이 되려면 멀고 멀었다. 지난 6일 개막한 베이징 겨울올림픽이 명약관화한 증거다. 편파 판정이나 개막식 한복 논란 같은 몇몇 팩트 때문만이 아니다. 중국이 한국을 바라보는 본심은 기실, 새로운 게 아니다. 중국 지린성 윤동주 시인 생가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이라는 표지석이 10년째 버티고 있으며,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체계 논란 당시엔 한국 기업이 현지 정부기관은 물론 주민들에게 테러를 당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취재하던 한국인 사진기자 1명을 중국 정부 경호원 15명이 폭행해 안구출혈 중상까지 일어난 일도 있다.   쐐기를 박았던 건 2017년 시진핑 주석의 발언이다. “한국은 중국의 일부였다”고, 다른 곳도 아닌 미·중 정상회담에서 말했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방중 당시 베이징대 연설에서 중국을 “높은 산봉우리” “대국”, 한국은 “작은 나라”라 칭했다. 나라 대 나라에서 보면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이번에 중국에 항의를 제대로 못 한 건 놀랍지 않다. 다음달 새로 출범할 정부는 한·중 관계를 초석부터 다시 쌓아야 한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하는 건 몇 사건에 발끈하는 일이 아니다. 이번 베이징 올림픽에서 중국은 비단 한·중 관계를 떠나 국제사회 전체에 ‘국격’의 가치를 되레 일깨웠다. 시 주석은 2012년, 중국이 세계의 중심 역할을 했던 과거의 영광을 21세기에 살리겠다며 중국몽(中國夢)을 기치로 내걸었다. 그러나 전 세계의 축제인 올림픽을 중국 체전으로 스스로 격하시킨 중국 정부다. 소위 중국몽은 아직 미몽임을 웅변하는 증거일 뿐이다.   “덕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는 사람에겐 모두가 기꺼이 복종한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는 것은 마음으로가 아니라, 힘이 모자라기에 복종을 하는 척할 뿐이다.” 중국의 성현, 맹자가 한 말이다. 2022년 중국엔 경제력과 인구 등 국력, 즉 힘은 있지만 덕이 없다. 자국팀으로 출전한 피겨스케이팅 선수에게 넘어졌다는 이유로 야유를 보내는 게 가히 덕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     중국의 또 다른 성현, 장자는 ‘오상아(吾喪我)’, 즉 “나를 잃고 나서 나를 찾았다”고 했다. 힘만을 앞세운 중국을 잊고 덕을 펼치는 중국으로 거듭나지 않는 이상 중국을 진정으로 대국으로 대접할 일은 없다. 물론 중국이 태도를 갑자기 바꾸고 진정한 대국으로 오상아 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더 딱하다. 중국도, 한국도. 전수진 / 한국 중앙일보 투데이·뉴스 팀장J네트워크 중국 베이징 겨울올림픽 한국인 사진기자 조선족 애국시인

2022-02-13

[노트북을 열며] 중국은 중국을 잃어야 한다

 중국이 진정한 대국(大國)이 되려면 멀고 멀었다. 지난 6일 개막한 베이징 겨울올림픽이 명약관화한 증거다. 편파 판정이나 개막식 한복 논란 같은 몇몇 팩트 때문만이 아니다. 중국이 한국을 바라보는 본심은 기실, 새로운 게 아니다. 중국 지린성(吉林省) 윤동주 시인 생가엔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이라는 표지석이 10년째 버티고 있으며,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체계 논란 당시엔 한국 기업이 현지 정부기관은 물론 주민들에게 테러를 당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취재하던 한국인 사진기자 1명을 중국 정부 경호원 15명이 폭행해 안구출혈 중상까지 일어난 일도 있다.   쐐기를 박았던 건 2017년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발언이다. “한국은 중국의 일부였다”고, 다른 곳도 아닌 미·중 정상회담에서 말했다. 그런데도 문 대통령은 방중 당시 베이징대 연설에서 중국을 “높은 산봉우리” “대국”, 한국은 “작은 나라”라 칭했다. 나라 대 나라에서 보면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이번에 중국에 항의를 제대로 못 한 건 놀랍지 않다. 다음달 새로 출범할 정부는 한·중 관계를 초석부터 다시 쌓아야 한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하는 건 몇 사건에 발끈하는 일이 아니다. 이번 베이징 올림픽에서 중국은 비단 한·중 관계를 떠나 국제사회 전체에 ‘국격’의 가치를 되레 일깨웠다. 시 주석은 2012년, 중국이 세계의 중심 역할을 했던 과거의 영광을 21세기에 살리겠다며 중국몽(中國夢)을 기치로 내걸었다. 그러나 전 세계의 축제인 올림픽을 중국 체전으로 스스로 격하시킨 중국 정부다. 소위 중국몽은 아직 미몽임을 웅변하는 증거일 뿐이다.   “덕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는 사람에겐 모두가 기꺼이 복종한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는 것은 마음으로가 아니라, 힘이 모자라기에 복종을 하는 척할 뿐이다.” 중국의 성현, 맹자가 한 말이다. 2022년 중국엔 경제력과 인구 등 국력, 즉 힘은 있지만 덕이 없다. 자국팀으로 출전한 피겨스케이팅 선수에게 넘어졌다는 이유로 야유를 보내는 게 가히 덕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 중국의 또 다른 성현, 장자는 ‘오상아(吾喪我)’, 즉 “나를 잃고 나서 나를 찾았다”고 했다. 힘만을 앞세운 중국을 잊고 덕을 펼치는 중국으로 거듭나지 않는 이상 중국을 진정으로 대국으로 대접할 일은 없다. 물론 중국이 태도를 갑자기 바꾸고 진정한 대국으로 오상아 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더 딱하다. 중국도, 한국도. 전수진 / 한국 투데이·뉴스 팀장노트북을 열며 중국 베이징 겨울올림픽 한국인 사진기자 조선족 애국시인

2022-0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